
청년 기본 소득 신청방법
신청 방법
대상 확인
- 만 24세, 신청일 기준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있고 최근 3년 연속 또는 합산 10년 이상 경기도 거주한 청년이 대상입니다. 2025년에는 성남·고양 주소지는 지급 불가가 공지되어 있으니 유의하세요.
신청 시기
- 2025년 분기별 일정(예시: 3분기 신청 7/1-8/11, 지급 개시 9/10 / 4분기 신청 10/15-11/24, 지급 12/20)처럼 분기마다 접수 기간과 지급일이 다릅니다. 최신 표는 경기도 공식 안내에서 반드시 확인하세요.
신청 방법(온라인)
- 잡아바 통합접수( apply.jobaba.net ) 접속 → ‘청년기본소득’ 선택
- 본인인증 및 신청서 작성
- 주민등록초본 업로드(신청일 현재 발급분, 최근 5년 주소변동 포함 · 주민번호 뒷자리 포함)
- 제출 후 심사·선정 결과 대기
- 선정 시 관할 시·군에서 지역화폐로 지급
위 절차와 필수 제출서류(초본, 수급자 증명서 등)는 경기도 공지에 명시되어 있습니다.
필수 서류 체크리스트
- 주민등록초본(최근 5년 주소변동/주민번호 전체/발급일자 포함)
-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(해당자)
- 온라인 신청서(플랫폼 내 작성)
팁(합격률↑)
- 초본의 주소변동 이력 기간이 조건(3년 연속 또는 10년 합산)을 증명하는지 꼭 확인
- 신청 시작일 09:00~마감일 18:00 사이에만 접수 가능 → 마감 임박 트래픽 혼잡 회피를 권장
지급 방식
- 지급 금액: 분기별 25만 원, 연 최대 100만 원(최대 4회)
- 형태: 시·군 지역화폐(거주지 시·군 가맹점에서 사용). 시흥·김포는 모바일, 그 외는 카드형이 기본입니다.
- 유효기간: 원칙적으로 3년, 시흥·군포·과천은 5년(미사용분은 기간 경과 시 소멸)
- 수급자 일시지급: 기초생활수급자는 일시금 지급 선택 가능(증명서 제출).
사용 가능처 예시
- 거주지 시·군 지역화폐 가맹점 전반에서 사용 가능(일부 업종 제한).
- 학원 수강료·시험응시료는 도내 및 온라인 연동 사용처에서도 매출 제한 없이 사용 가능(세부 사용처는 공지 참조).
Q&A
Q1.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A. 만 24세이며 신청일 기준 경기도 거주, 3년 연속 또는 10년 합산 경기도 거주 이력이 있으면 가능합니다. 2025년엔 성남·고양 주소지 제외입니다.
Q2. 얼마를, 어떻게 받나요?
A. 분기 25만 원, 연 100만 원 한도로 지역화폐(시·군 카드 또는 모바일)로 지급됩니다.
Q3. 언제 신청하나요?
A. 매 분기 공지된 신청기간에만 접수합니다(예: 3분기 7/18/11, 4분기 10/1511/24). 지급 개시는 분기별로 상이합니다.
Q4. 어디서 신청하나요?
A. **잡아바 통합접수(온라인)**에서 신청합니다. 본인인증 후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을 완료하세요.
Q5. 서류는 무엇이 필요한가요?
A. 주민등록초본(최근 5년 주소변동·주민번호 뒷자리 포함·신청일 발급), **수급자 증명서(해당자)**가 필요합니다.
Q6. 군 복무·휴학 중인데 가능한가요?
A. 기본 요건(연령·거주) 충족 시 원칙적으로 신청 가능하나, 연령 기준일·거주 요건 충족 여부가 핵심입니다. 분기별 연령 기준일 표를 확인하세요.
Q7. 다른 지역도 ‘청년 기본소득’이 있나요?
A. 명칭과 내용은 지자체마다 다르며, 경기도의 ‘청년기본소득’이 대표적입니다. 서울시는 ‘청년수당’ 등 별도 제도를 운영합니다(요건·금액 상이).
마무리
한 번뿐인 만 24세의 기회,
10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청년기본소득을 놓치지 마세요.
경기도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,
분기별로 나눠 받거나 한 번에 받을 수도 있어요.
지금 내 자격을 확인하고 바로 신청해보세요!
0 댓글
💬 질문은 환영! 욕설, 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.